2023년 정부에서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실시합니다. 11월 10일까지 사실조사 참여기간이며, 모바일 비대면 참여기간은 8월 20일까지입니다. 기간 내 참여하지 않으면 주민등록법에 근거해 5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하니 이 포스팅을 보는 분은 기간 내 꼭 사실조사에 참여하시길 바랍니다.
2023년 주민등록 사실조사
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실거주지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사업인데요.
실제로 거주하는 주민의 수를 제대로 파악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지역 정책을 계획하기 위한 사업인만큼, 전 국민의 참여가 필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.
21년까지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공무원이나 자원봉사자가 직접 해당 거주지로 찾아가 일일히 조사를 진행했지만, 1인가구 및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올해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정부24 앱을 통해 비대면 조사 기간을 두었습니다. 이 기간이 지나면 방문으로 사실조사에 임해야합니다. 번거로우니 미리 모바일로 참여하는게 좋겠죠?
✅ 정부24 비대면 참여기간: 2023년 7월 24일 ~ 8월 20일
✅ 방문 사실조사 기간: 2023년 8월 21일 ~ 10월 10일
모바일로 비대면 사실조사에 참여했더라도 아래에 해당하는 중점조사 대상이라면 방문조사가 진행됩니다.
✅ 방문조사 대상
1. 복지취약계층
2. 사망의심자
3. 장기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아동
4. 100세 이상 고령자
5. 장기 거주불명자
2023년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으로 하는 방법
그럼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이 방법은 PC에서는 안되고 정부24 어플로만 진행이 가능하니 미리 다운로드 받아두시길 바랍니다.
먼저 다운로드 받은 정부24 어플에서 2023 비대면 주민등록 사전조사 참여하기를 눌러주세요.
로그인이 필요한데요, 간편인증,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 중 편한 방법으로 로그인을 해주세요.
저는 모바일신분증을 받아놓은 상태라 모바일신분증으로 인증 진행했습니다.
개인정보 동의 해주시구요, 참여자 정보까지 확인해주세요.
본인의 이름, 주소, 인적정보까지 맞는걸 확인했으면 '실제와 같음'을 선택해주세요.
* 주의할 점은 지금 있는 위치(GPS 상)가 주소지와 50m 초과하면 이렇게 인증이 되지 않습니다.
주거지에 돌아가셔서 잊지말고 꼭 인증해주시길 바랍니다.
오늘은 2023년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지가 실거주하는 곳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물론이고 복지취약계층, 출생 미등록 아동 확인, 복지취약계층 등을 확인해 복지를 더 늘리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사업입니다.
5분 정도 소요되는 작업이니 귀찮다고 놓쳐 과태료를 부과하지 마시고, 참여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댓글